티스토리 뷰
러시아 양자물리학자 바딤 젤란드는 "리얼리티 트랜서핑"을 통해 현실을 창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원하는 인생을 직접 설계하고 실현하는 법, 불필요한 노력 없이 이상적인 삶의 트랙으로 이동하는 법이 있다. 이 책은 단순한 목표 달성을 넘어, 존재하는 수많은 가능성 중 원하는 현실을 선택하고 그것을 물질화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오늘은 <리얼리티 트랜서핑 2권>에서 바딤 젤란드가 이야기하는 ‘현실을 바꾸는 결정의 힘’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삶은 달라질 수 있으며, 트랜서핑은 그 결정의 순간이 어떻게 현실을 형성하는지 설명한다. 당신이 경험하는 현실은 우연이 아니다.
트랜서핑의 핵심 개념
기존의 사고방식은 목표를 설정하고 끊임없이 노력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트랜서핑은 이와는 전혀 다른 방법을 제시한다. '외부 의도'라는 개념을 활용하면, 원하는 현실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모든 가능한 현실은 이미 존재하며, 우리의 선택에 따라 특정한 가능성이 활성화된다. 중요한 것은 억지로 현실을 바꾸려는 것이 아니라, 이미 이루어진 현실을 의식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원하는 삶을 떠올리고 그 감정에 몰입하면, 현실은 스스로 조정되며 변화하기 시작한다. 이것이 트랜서핑이 말하는 외부 의도의 힘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표를 원하지만, 동시에 그것이 어려울 것이라는 믿음을 가진다. 결국 현실은 후자의 믿음에 맞춰진다. 젤란드는 새로운 방식으로 현실을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원하는 것을 가지겠다고 ‘결정’하면, 현실이 그에 맞춰 변화하기 시작한다.
성공의 물결 - 가능태 공간의 에너지
트랜서핑에서는 성공이란 하나의 흐름이며, 특정한 패턴을 가진 에너지라고 설명한다. 이 흐름이 바로 ‘성공의 물결’이다.
성공의 물결은 가능태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이를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제공한다. 현실에서 첫 번째 작은 성취가 나타나면, 이를 무시하지 말고 집중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던 일이 순조롭게 풀리기 시작해도 그 흐름을 믿지 못하고 불안감을 느낀다. 그러나 성공의 물결을 타기 위해서는 신호를 인식하고, 이를 인정하며, 감사하는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성공의 흐름은 더욱 강력해지고 지속적으로 이어지게 된다.
'가능태 공간'이란?
의도 - 현실 창조의 핵심
의도는 단순한 소망이나 기대가 아니라 현실을 형성하는 핵심적인 힘이다. 바딤 젤란드는 현실이 우리가 내리는 의식적인 결정에 의해 형성된다고 설명한다.
단순히 '원한다'는 감정만으로는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나는 이것을 가지겠다’고 결심하는 순간, 우리의 내면과 외부 환경이 그에 맞춰 변화하기 시작한다.
트랜서핑에서 말하는 ‘의도’는 두 가지로 나뉜다. 내부 의도는 우리가 현실을 직접 조작하려는 의지이며, 외부 의도는 이미 원하는 결과가 이루어졌음을 인정하고 그것이 자연스럽게 실현되도록 하는 힘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내부 의도에 집중하며, 노력과 통제를 통해 목표를 이루려고 하지만, 트랜서핑에서는 외부 의도를 활성화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강조한다.
현실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억지로 바꾸려 하기보다, 원하는 현실을 이미 이루어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그에 맞춰 행동해야 한다. 현실은 우리의 믿음과 선택에 따라 조정되며, 강력한 의도가 있을 때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많은 부자들은 어느 순간 ‘부자가 되겠다’는 결정을 내린다. 그 이후 그들의 행동과 사고방식이 이에 맞춰 조정되면서 현실이 점차 변화한다. 원하는 현실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불확실한 바람이 아니라, 명확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잉여 포텐셜 - 욕망과 집착의 불균형
가능태 공간에서 현실을 형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에너지의 집중이다. 한 번에 여러 방향으로 의도를 분산시키면, 그 에너지는 약해지고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려워진다.
잉여 포텐셜이란 우리가 필요 이상으로 강한 욕망이나 집착을 가질 때 발생하는 불균형한 에너지를 말한다. 이는 현실을 왜곡시키고, 오히려 원하는 목표를 멀어지게 만든다. 어떤 목표를 너무 간절하게 원하면 그것이 실현되지 않는 이유도 바로 잉여 포텐셜 때문이다. 강한 욕망은 의도를 흐트러뜨리고, 불안과 의심을 유발하며, 궁극적으로 현실과의 균형을 깨뜨린다.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여러 목표를 설정하지만, 이 과정에서 정신적 에너지는 흩어지게 된다. 이는 마치 여러 개의 길을 동시에 걸으려 하는 것과 같아, 결국 어느 곳에도 도달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바딤 젤란드는 한 가지 목표에 온전히 집중하는 것이 가장 강력한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하나의 명확한 의도를 정하고, 그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보내야 한다. 그래야만 현실이 점차 그에 맞춰 조정되며, 원하는 결과를 더 쉽게 이룰 수 있다.
영혼과 마음의 일치 - 목표 실현의 확신
현실을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영혼과 마음의 일치’다. 원하는 목표가 있더라도, 마음(현재의식)과 영혼(잠재의식)이 조화를 이루지 않으면 현실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우리는 종종 ‘이 목표를 이루고 싶다’고 생각하지만, 내면 깊은 곳에서는 ‘이 목표를 이루는 것은 어렵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트랜서핑에서는 이러한 내적 갈등이 현실을 제자리걸음하게 만든다고 설명한다. 겉으로는 목표를 원하지만, 내면에서 그것을 부정하는 경우 목표가 현실이 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진정으로 원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감정적으로도 완전히 받아들이는 것이다. 바딤 젤란드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목표 자체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가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느끼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슬라이드’다. 원하는 미래를 생생하게 상상하고, 그 감정에 깊이 몰입하면, 마음과 영혼이 조화를 이루게 된다. 이 조화가 형성될 때, 현실이 점차 변화하기 시작한다.
중요한 것은 선택한 길에 대해 의심하지 않는 것이다. 어떤 목표를 향해 가면서 ‘이것이 정말 가능할까?’라는 의문이 든다면, 그것은 의도가 아니라 욕망일 가능성이 높다.
트랜서핑에서는 목표가 어떻게 실현될지를 고민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한다. 중요한 것은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슬라이드 - 미래 시각화 기술
슬라이드는 단순한 상상을 넘어 현실을 창조하는 강력한 도구다. 원하는 목표를 명확하게 시각화하고, 그 감정을 생생하게 경험할수록 현실은 그에 맞춰 변화한다. 트랜서핑에서는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마치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상상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한다.
슬라이드는 단순한 공상이 아니라, 현실을 움직이는 강력한 메커니즘이다. 지속적으로 원하는 미래를 떠올리고 그 감정에 몰입하는 것이 현실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첫걸음이다.
슬라이드를 활용하는 핵심은 지속적인 반복이다. 원하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그려보고, 그 감정에 몰입하는 과정이 반복되면, 잠재의식이 이를 현실로 받아들이기 시작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행동과 사고방식이 변화하고, 결국 현실도 이에 맞춰 조정된다.
바딤 젤란드는 현실을 바꾸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슬라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를 통해 원하는 삶의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트랜서핑의 비밀 - 현실 창조는 선택에서 비롯된다
많은 사람들이 목표를 세우면서 가장 큰 실수를 한다. 그것은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먼저 고민하는 것이다. 하지만 바딤 젤란드는 방법을 따지기 전에 스스로 어떤 현실을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중요한 것은 목표를 이루는 과정이 아니라, 목표 자체에 대한 명확한 선택이다. 방법을 고민하기보다는, 목표가 이미 현실이 되었다는 확신을 갖는 것이 우선이다.
믿음이 강해질수록 현실은 변화한다. 처음에는 단순한 생각의 전환처럼 보일 수 있지만, 지속적인 확신과 선택을 통해 현실의 흐름이 서서히 조정되기 시작한다. 이것이 트랜서핑에서 설명하는 ‘외부 의도의 작용’이며, 원하는 현실을 실현하는 핵심 원리다.
결론 : 현실을 바꾸기로 결정하라
리얼리티 트랜서핑은 기존의 목표 달성 방식과는 완전히 다른 접근을 제시한다. 현실은 노력과 싸움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선택하는 것이다.
의도를 명확히 하고, 성공의 흐름을 타고, 불필요한 목표를 버리고, 원하는 미래를 시각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목표를 이루는 방법을 찾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이루겠다고 ‘결정’하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 원하는 현실을 선택하는 것으로 모든 것은 시작된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얼리티 트랜서핑 3, 현실을 변화시키는 선택과 깨어 있는 의식 (0) | 2025.02.01 |
---|---|
리얼리티 트랜서핑 1, 세계관, 가능태 모델, 펜듈럼 (0) | 2025.01.30 |
린 그라본 <여기가 끝이 아니다> 진짜 끌어당김의 법칙 (0) | 2024.11.30 |
<부의 역설> 뇌 과학의 비밀과 NLP(신경 언어 프로그램) (0) | 2024.11.30 |
데일 카네기 <마음 경영> - 저자 소개, 책 내용, 느낀 점 (0) | 2024.11.17 |